사주명리의 뿌리와 가지: 사주명리 원리와 구성체계 #김만태교수 #사주 #작명
Page info
Writer Date25-08-03 00:00 Hit3 Comment0Link
-
https://youtu.be/KRgPwSngnbU 0- Connection
Body


사주명리의 뿌리와 가지: 사주명리 원리와 구성체계
경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정선'사주명리 강좌
https://namestory.kr/bbs/board.php?bo_table=sub3_1\u0026wr_id=212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https://namestory.kr
김만태교수 훈민정음 오행성명 https://blog.naver.com/ware4u
#사주 #사주팔자 #사주명리 #명리학 #김만태 #김만태교수 #추적60분
#운명 #쌍둥이 #작명 #개명 #작명소 #철학관 #유명한작명소 #유명한철학관 #훈민정음 #오행성명 #훈민정음오행성명 #음양 #오행 #음양오행 #천지인 #천지인삼원 #택일 #출산택일 #제왕절개
사주명리의 뿌리와 가지: 사주명리 유래와 구성체계
사주명리의 기원은 4세기 초 무렵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시기는 음양오행 사상이 체계화되고, 천간지지에 음양오행이 배속되었으며, 육십갑자 간지력과 점성술 지식이 통합되고, 결정론적인 운명관인 정명(定命) 사상이 형성되기 시작한 때입니다. 특히 10세기 중반 서자평(徐子平)을 기점으로 사주명리는 큰 전환점을 맞이합니다.
서자평 이전에는 주로 생년의 납음오행을 중심으로 운명을 판단하는 '고법사주'가 주를 이루었으나, 서자평 이후에는 출생일의 천간인 일간(日干)을 중심으로 다른 글자들과의 음양오행 생극제화 관계를 통해 명운을 추론하는 '신법(자평)사주'가 등장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사회의 인식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즉, 개인의 운명이 조상이나 가문의 문벌에 의해 결정된다는 인식이 약해지고, 개인이 타고난 품성, 자질, 능력 등이 운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사주명리의 해석 방식 또한 개인 중심으로 변화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는 14세기 초 고려 말 성리학이 도입되던 시기와 유사하게 원나라로부터 신법(자평)사주가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주명리를 구성하는 원리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입니다.
음양오행론: 사주명리의 가장 근간이 되는 사상으로, 자연의 순환 질서와 인간사의 변화를 음양의 소장(消長)과 오행(목, 화, 토, 금, 수)의 상생(相生) 및 상극(相克) 관계를 통해 설명하는 천인합일 사상입니다. 이는 우주의 모든 현상이 음과 양, 그리고 오행의 조화와 균형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철학적 바탕을 제공합니다.
간지론: 천간(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과 지지(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의 의미와 특성을 다루는 이론입니다. 각각의 간지에는 고유한 음양오행적 속성과 상징이 부여되어 있으며, 이들이 결합하여 육십갑자를 형성하고 시간과 공간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간지력법: 생년월일시를 천간과 지지의 조합인 사주팔자로 치환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개인의 출생 순간에 우주의 기운이 어떻게 배열되었는지를 나타내며, 이 사주팔자가 개인의 선천적인 운명적 특성을 담고 있다고 봅니다.
본체 원리: 삼재론(우주만물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중화론(음양오행의 조화와 균형), 정명론(타고난 운명)과 같이 사주명리 이론의 핵심을 이루는 근본 원리들입니다. 이 원리들은 사주를 해석하고 길흉을 판단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간명 원리 및 상호작용 관계론: 육신론(일간과 다른 글자들의 관계를 통해 가족, 재물, 직업 등을 나타내는 이론), 용신론(사주 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오행을 찾는 이론), 조후론(사주의 한난조습을 조절하는 이론), 억부론(사주의 강약을 조절하는 이론), 격국론(사주의 구조를 파악하는 이론), 십이운성론(천간의 왕쇠를 12단계로 나누어 설명하는 이론), 공망론(특정 지지가 짝짓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이론), 신살론(길흉을 나타내는 특정한 조합이나 기운을 의미하는 이론) 등은 사주팔자 내의 글자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개인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다양한 이론들입니다.
사주팔자에는 개인이 타고난 성격, 재능, 육친(부모, 형제, 배우자, 자녀 등), 재물운, 직업적 성공 가능성, 건강 상태 등 삶의 다양한 측면들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사주명리가 처음 생겨난 원초적인 목적은 현세에서의 행복, 즉 '피흉추길(避凶趨吉, 흉함을 피하고 길함을 따른다)'에 있었습니다. 이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오복(五福: 수, 부, 강녕, 유호덕, 고종명)' 개념과도 일맥상통하며, 현세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재앙을 피하고자 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사주의 주인공인 '일간(日干)'을 중심으로 다른 글자들과의 생극 관계 및 음양 차이를 가려 나타낸 '육신(比劫, 食傷, 財星, 官星, 印星)'은 가족 관계, 대인 관계, 사회적 지위, 재산, 의식주, 건강, 학업, 문서 등 현세적 삶의 길흉화복과 관련된 구체적인 의미들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이 육신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의 운명이 다양하게 펼쳐지는 양상을 예측하고 해석하는 것이 사주명리 상담의 핵심이 됩니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