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체질 총식품분류표(우뭇가사리~흰콩) 제5부끝. 소음인 태음인 태양인 소양인. 추정이 아닌 검증된 400가지 여덟체질 식단…
Page info
Writer 송산팔체질나르샤-Lim co… Date20-05-11 00:00 Hit25 Comment0Link
-
https://youtu.be/ao9AvCSpzY4 1- Connection
Body


송산팔체질 공식 웹사이트 http://www.gan.co.kr/ 010-5044-7582
팔체질 식이요법으로 암 간질환 당뇨 혈압 등으로 힘들어 하는 분들의 자연치유를
30여 년 동안 도와왔습니다.
팔체질로는 전세계에서 가장 방대하고 실용적인 웹사이트이며
여기서 거의 모든 체질관련 궁금점을 풀 수 있습니다.
부디 방문해보시길 권합니다.
틀림없이 잘 했다고 만족할 것입니다.
상담문의 환영
출판한 책 소개: 팔체질로 암 간 당뇨 혈압 다스린다.
대학교재크기의 1100쪽의 풍부한 실용적인 대형 팔체질 책
링크열기 http://www.gan.co.kr/skin_build61/sub_page.php?page_idx=379
아직 이만한 내용의 체질 초대형 책은 없는 것 같습니다. 가격 30000원
문의: 010-5044-7582
#사상체질 #식이요법 #태양인좋은음식
건강하게 장수하려면 내 몸과 내 체질에 꼭 맞는 섭생을 해야 합니다.
대부부의 사람들은
체질이란 말은 자주 들어왔지만~~
뭘 먹어도 다 소화도 잘 되고 탈이 없는데 굳이 음식을
가려먹어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젊고 혈기왕성했던 건강의 봄 날도 지나가고,
중년이후에는 음식조심을 하지 않았던 결과물이 나타나
결국에는 중대질병에 노출되어 말년을 힘들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강조하거니와 보통 사람들은 모든 음식과 식품 과일 채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믿지만 잘못된 것입니다.
건강할 때 미리 잘 체질 섭생법을 잘 실행하면
중년 이후의 건강보험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이 동영상은 우리의 몸은 무엇이든
닥치는대로 또는 이른 바 골고루 먹어서는 안 되며,
생체의 생리에 맞게 선택적 섭생을 해야한다는
자연에 존재하는 체질원리를 설명합니다.
1.동물의 식생활과 식물의 서식환경을 살펴보고
사람은 어떻게 먹고 살 것인지 추리해볼 것입니다.
2. 또한 식물 또는 식품에는 영양성분만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더 중요한 기운이 있다는 것과
그것이 우리 건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봅니다.
3. 다음으로 내 몸의 오장육부의 기능은 물론이고
특히 장부의 기운과 성질에 맞게 섭생하여
건강을 누리도록 안내합니다.
* 소는 풀을, 호랑이는 고기만를 먹습니다.
육식동물은 송곳니가 발달하여 사냥하기에 적합하고
장부 중 간과 쓸개는 기능이 발달하여
담즙분비가 잘 되기 때문에 섭취한 육류의 단백질과
지방을 잘 분해 소화시킵니다.
폐대장은 약해 대장은 짧아서 풀과 같은 섬유질은
먹을 수 없습니다.
고기만 먹고 풀은 한 입도 못 먹는 편식을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동맥경화나 협심증 고혈압 등의 질병은
생기지 않습니다.
육식동물은 그렇게 장부가 태어났습니다.
* 그러나 소와 같은 초식동물은 정반대입니다.
간 쓸개는 약해서 담즙 분비가 약합니다.
때문에 육류를 잘 소화시킬 수 없는 것입니다.
고기를 먹으면 병이 생깁니다.
하지만 여러 개의 위장에다 되새김 기능과
성능좋은 어금니를 가진 덕에 거친 풀을
너끈히 소화시킬수 있습니다.
게다가 대장이 길어 영양소를
완전히 흡수할 수 있습니다.
이래서 고기만 먹는 육식동물은 대장이 짧아 배가 홀쭉하고,
소는 풀만 먹어도 대장이 실해 살이 통통합니다.
* 식물도 적합한 서식환경이 다 다릅니다.
또 물 없는 사막기후에서 잘 자라는 선인장과는
대조적으로 연못에서만 썩지 않고
넓은 잎으로 햇볕을 받아드리고
뿌리에서 뽑아올린 물로 광합성 작용을 하여
우리에게 연근을 공급해줍니다.
성질이 차가워 햇빛만 따라가는
해바라기와 같은 양지식물이 있는가 하면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이끼와 같은 음지식물도 있습니다.
이처럼 지상의 생명체들 즉 동물들은
장부의 기능과 성질에
맞는 먹이를 선택적으로 섭취하고
식물들은 식물과 세포의 구조에 따라
서식하고 있는 것입니다.
* 사람도 음양(인체의 차가움과 더움의 차이)의 차이에 맞게,
생체의 기능과 장부 구조에 맞게 섭취해야 건강해집니다.
이러니 우리 사람도 몸이 찬 사람은
더운 음식을 먹고
반면에 더운 사람은
서늘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순리가 아니겠습니까?
폐활량이 좋은 마라톤 선수는
폐가 강하니 기운을 보태지 말고 그대로 두고
조금만 과식하거나 찬 음식을 먹으면
탈이 나는 사람은
위장이 약한 장부이니
보강해주는 식품을 먹어야 합니다.
이와 같이 각 개인에게 존재하는
체질의 장부의 강약에 맞게 먹고 살아야 합니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