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과 천문해석학(인도점성학)의 유사점과 차이점
Page info
Writer 천문해석학 Date21-02-11 00:00 Hit51 Comment0Link
-
https://youtu.be/pkm1pSXCUeg 6- Connection
Body


사주명리학과 천문해석학의 유사점이 있는지 혹은 차이점이 있다면
무엇인지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통하여 역학의 안목을 넓히는데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약 천 년 전 중국에서 서자평은 일간을 팔자 간지에 대입하여 생극제화를
통하여 각 십성간의 상호관계와 작용을 바탕으로 길흉을 판단하는
새로운 체계인 사주 명리학을 주창하였고,
그 후 한국에 도입되었고 지금은 늘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인도에서 발생한 인도 천문해석학은 약 4,000년 전부터 발생하여 베다경전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행성이 위치한 별자리를 통하여 자신이 어떤 천문의
기운을 받는지에 따라 길흉을 판단하게 됩니다. 그 후부터 오늘날까지 전승 발전되어 내려오고 있으며 인도뿐 아니라 동남아, 유럽, 미국에도 늘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주 명리학의 근본적인 이론 체계는 달과 태양은 각각 음양으로 배속되어, 음양 이론이 탄생하게 되었고, 음양 이론에서는 달과 태양의 고유한 특질만 아니라 상호 대립, 상호 보완, 상호 작용과 같은 모든 성향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달과 태양은 음양 이론의 한 부분이 되어 고유한 성격보다는
포괄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철학 이론으로 되었습니다.
인도 천문해석학의 달과 태양은 각각의 고유한 성질이 있으며,
달과 태양이 천구상에 어떤 별자리에 있는지에 따라 해석이 다릅니다.
그러므로 달과 태양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측적인 전통방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주 명리학과 인도 천문해석학의 달과 태양에 관한 내용과 해석은 매우 다릅니다.
다섯 행성인 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을 목(木), 화(火), 토(土), 금(金) 그리고 수(水)의 오행에 각각 배당하여 오행설이 탄생하였으며 오행설도 오행성의 고유한 특질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행성의 영향 아래 각각의 사물들이
가질 수 있는 성질, 작용, 기능 등과 같은 모든 성향을 포함하여 형이상학적인 철학 이론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인도 천문해석학의 오행성은 각각의 고유한 성질이 있으며, 각 행성이 천구상에 어떤 별자리에 있는지에 따라 해석이 다릅니다. 그러므로 오행성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측적인 전통방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비교분석을 통하여 사주명리학의 오행과 천문해석학의 다섯 행성은 서로의 연관성은 거의 없으며 서로 독자적인 방법으로 발전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그래서 사주 명리학의 음양, 오행과 인도 점성학의 달, 태양, 오행성은
서로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21년 동국대학교 미래융합교육원 최고위과정 인도점성학
기초과정, 중급과정, 고급과정을 개강합니다.
동국대 초급과정 바로가기 https://edulife.dongguk.edu/ngrade/site/lecture/2101
(2021.03.15 ~ 2021.04.14, 매주 월, 수 18:30~21:00)
동국대 중급과정 바로가기 https://edulife.dongguk.edu/ngrade/site/lecture/2663
(2021.04.26 ~ 2021.05.26, 매주 월, 수 18:30~21:00)
동국대 고급과정 바로가기 https://edulife.dongguk.edu/ngrade/site/lecture/2869
(2021.05.31 ~ 2021.06.30, 매주 월, 수 18:30~21:00)
강의수강문의: 황원철
010 4278 9555, 카톡 ID: sisk77, 메일: sisk77@naver.com
동국대학교 미래융합교육원 평생교육과정https://edulife.dongguk.edu/ngrade/site/course/21
#사주 #사주명리 #음양오행
#점성학 #점성술 #천문공부 #별자리
#별자리해석 #별자리강의 #별자리공부
#천문해석학 #별자리운명 #별자리운세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