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 몰라도 나의 기운은 충분히 채울 수 있다 - 충남 광천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수향보살
Page info
Writer 굿엔트 Date20-07-06 00:00 Hit18 Comment0Link
-
https://youtu.be/eK3a3-gSUGg 2- Connection
Body


#음양오행_몰라도 #나의_기운 #채울_수_있다 #용한무당추천 #용한점집추천 #용한점집후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점잘보는집 #근처점집 #수향보살 #충남점집 #성주운 #성주굿 #재수굿
수향보살
상담위치:충남 홍성군 광천읍 광천로 329번길 54-2 (광천역 앞)
상담문의:010-9222-4784
[굿엔트]촬영문의 010.9768.1638\r
[굿엔트]유튜브채널 \r
https://www.youtube.com/channel/UCM6gid2jm7Pc7d_wOrDgQQg\r
[굿엔트]네이버 https://blog.naver.com/goodent1638\r
[굿엔트]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oodent1638\r
[굿엔트]트위터 https://twitter.com/Goodent6\r
[굿엔트]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goodent1638\r
[굿엔트]스토리채널 https://ch.kakao.com/channels/@goodent1638\r
\r
우리나라 전통의 민간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무속인의 이야기와 무속 문화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구독자 시청자 여러분 항상 좋은 날 되세요!\r
\r
민속신앙 전문 유튜브채널 '굿엔트' -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음양과 오행이라는 기호를 통해 조화와 통일을 강조하는 학설. 유교교리.
음양설과 오행설은 원래 독립되어 있었으나 대략 기원전 4세기 초인 전국시대(戰國時代)에 결합되기 시작하여 여러 가지 현상들을 설명하는 틀로 사용되었다. 제(齊)나라의 추연(騶衍)이 체계적으로 결합시켰다고 전해오나 입증할 만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한대(漢代)가 되면서 두 관점이 하나의 정합적인 이론으로 통합된 것은 확실하다.
어원으로 보면 음(陰)·양(陽)이라는 두 문자는 각각 어둠과 밝음에 관련되어 있다. 음이라는 글자는 언덕[丘]과 구름[雲]의 상형(象形)을 포함하고 있으며, 양이라는 글자는 모든 빛의 원천인 하늘을 상징하고 있다.
원래는 가장 오래된 천문기계인 구멍 뚫린 구슬 원반 소유자를 나타내거나 비스듬히 비치는 태양광선 또는 햇빛 속에서 나부끼는 깃발을 나타내고 있었다. 결국 음은 여성적인 것, 수동성·추위·어둠·습기·부드러움을 뜻하고, 양은 남성적인 것, 능동성·더위·밝음·건조함·굳음을 뜻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두 개의 상호보완적인 힘이 서로 작용하여 우주의 삼라만상을 발생시키고 변화, 소멸시키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음양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4∼3세기에 편집된 듯한 『국어 國語』에 나타나 있다.
주(周)나라 태사(太史)인 백양보(伯陽父)의 지진에 대한 설명으로 양기(陽氣)가 숨어서 나오지 못하면, 음기(陰氣)가 눌려서 증발할 수 없으므로 지진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역경』 계사(繫辭)에 “일음일양 그것이 도이다(一陰一陽之謂道).”라고 하여 우주에는 두 가지의 힘 또는 작용이 있어 때로는 한쪽이, 어느 때는 다른 쪽이 물결과 같이 계기적으로 우세하게 된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밖에 『묵자 墨子』·『장자 莊子』 및 『도덕경 道德經』에도 음양에 관한 언급이 보인다.
음양사상에는 상반(相反)과 응합(應合)의 논리가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상반은 +와 -의 대립이고 응합이란 상반이 단순한 대립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고 항상 상호의존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발전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상반응합의 사상은 음양사상에 이르러 비로소 형성된 것이 아니라 이전부터 강유(剛柔)의 이론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강유의 이론을 소급해 올라가면 『역경』의 십익(十翼)으로부터 『도덕경』을 거쳐 『서경』의 홍범(洪範)에 이르게 된다.
「홍범」 구주(九疇)의 여섯번째에 삼덕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삼덕의 사상이 강유의 이론으로 강과 유의 관계를 논하고 있다. 음양설은 주로 『주역』과 연관되어 있는데, 효(爻)와 괘(卦)에서 획선(劃線) ○은 양을, 절선(絶線) ○은 음을 나타낸다.
팔괘(八卦) 중 건괘(乾卦)와 곤괘(坤卦)는 각각 ○과 ○로서 양과 음의 특별함을 상징하고, 나머지 6괘는 음양의 효가 조합되어 만들어진다. 이것은 음·양 교역(交易)의 과정을 도획으로 상징화한 것으로 천지 만물의 생성을 나타내고 있다.
계사에 “천지의 기운이 서로 감응합일하여 만물이 생겨나고 번영하며 남녀의 정기가 결합되어 인간이 화생한다.” 하는 구절이 있는데, 천지와 인간이 서로 구별되지 않고 대우주-소우주의 상관관계로서 서로 밀접하게 묶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오행설의 기원은 서기전 4세기 초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오행설의 최초 언급이라고 하는 옥검(玉劍)의 손잡이 새김글에 “오행의 기가 가라앉으면 응축(凝縮)을 발생시킨다……(行氣宎則○).”라는 구절의 연대와 같은 시기이다.
오행설에 관한 또다른 근거가 되는 출처는 『서경』의 홍범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문헌은 은왕조의 기자(箕子)가 무왕(武王)에게 전한 말을 기록한 것이라고 알려져 왔으나 지금은 여러 시대에 걸친 단편적인 글들로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져 있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관련 부분은 다음과 같다.
“오행에 관하여 그 첫째는 수(水)이고, 둘째는 화(火), 셋째는 목(木), 넷째는 금(金), 다섯째는 토(土)이다. 수의 성질은 물체를 젖게 하고 아래로 스며들며, 화는 위로 타올라 가는 것이며, 목은 휘어지기도 하고 곧게 나가기도 하며, 금은 주형(鑄型)에 따르는 성질이 있고, 토는 씨앗을 뿌려 추수를 할 수 있게 하는 성질이 있다. 젖게 하고 방울져 떨어지는 것은 짠맛[鹹味]을 내며, 타거나 뜨거워지는 것은 쓴맛[苦味]을 낸다. 곡면(曲面)이나 곧은 막대기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신맛[酸味]을 내고, 주형에 따르며 이윽고 단단해지는 것은 매운맛[辛味]을 내고, 키우고 거두어 들일 수 있는 것은 단맛[甘味]을 낸다.”
이와 같이, 오행의 개념은 다섯 종류의 기본적 물질이라기보다는 다섯 가지의 기본 과정을 나타내려는 노력의 소산이며, 영원히 순환운동을 하고 있는 다섯 개의 강력한 힘을 나타낸다.
음과 양은 교대로 계기(繼起)하는 두 가지 흐름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그 계기의 순서를 정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으나, 오행설이 발전하면서 복잡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진(秦)나라 이래 우주의 사물을 다섯 가지로 나누게 되어 사계(四季)의 순서나 공간적인 방위(方位), 신체의 기관, 색깔·냄새·맛 등에 모두 적용했다.
이에 오행을 여러 가지 경우로 배열할 수 있는 두 개의 중요한 방법이 나타났다. 하나는 자연계의 운동을 음양이 서로 소장(消長)하는 다섯가지 단계의 과정으로 생각한 것이다. 제1단계에서는 양이 성장하고 제2단계에서는 양이 성숙의 경지에 도달한다.
제3단계에서는 양이 소모되나 음이 아직 움직이지 않아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제4단계에서는 음이 성장을 시작하며, 제5단계에서는 음이 성숙하여 힘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순환이 반복되나 양이 다시 성장하기 전의 균형상태를 이루는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이 도식은 오행상생설(五行相生說)이라고 불리는데 오행과 관련시키면 [그림] 과 같다. 두번째의 입장은 각 물질의 개별적인 힘을 강조한 것으로, 각 물질과 각 단계가 선행자를 정복한 결과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므로 오행상승설(五行相勝說)이라고 한다.
목은 금에 지고, 금은 화에 지며, 화는 수에, 수는 토에 지며, 다시 토는 목에 지므로 순서는 목·금·화·수·토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이 입장은 물질세계를 이루는 각 요소간에 끊임없는 갈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포괄적 도식에 맞추어 자연물이건 인공물이건 모든 사물은 다섯 범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동서남북은 각기 목·금·화·수에, 중앙은 토에 각각 배정되었고, 춘하추동은 목·화·금·수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명확하게 다섯으로 구분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의적인 구분과 선택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오행설은 역사관에도 편입되어 추연은 종시오덕설(終始五德說)과 음양주운설(陰陽主運說)을 주창하기도 하였다. 오행의 덕의 실현이 왕도(王道)의 규범이며 오행의 속성을 군주가 지녀야 할 덕의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으로, 예컨대 수덕(水德)의 왕은 윤하(潤下)를, 화덕(火德)의 왕은 염상(炎上)을 규범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왕조의 교체도 오덕의 계승과 합치된다고 하여, 황제(黃帝)의 토덕(土德)을 하조(夏朝)의 목덕(木德)이 극복하고, 하조의 목덕을 상조(商朝)의 금덕(金德)이 이기며, 상조의 금덕을 주조(周朝)의 화덕이 이기므로 주왕조 다음 왕조는 반드시 수덕을 가지게 마련이라는 주장을 폈다.
이에 따라 진시황은 모든 면에서 수의 색인 흑색(黑色)을 숭상하여 황하의 이름도 흑수(黑水)라고 바꿀 정도였다. 이러한 음양주운설은 『관자 管子』의 사시편(四時篇)과 유관편(幼官篇)에 전해지고, 이 두 편이 다시 『여씨춘추 呂氏春秋』에 채용되어 『회남자 淮南子』의 시측십이기(時則十二紀)에 이르러서 마침내 『예기』 월령(月令)의 성립을 이룬 것이다.
월령이란 군주가 일반 백성들에게 내린 월중행사표로서 매달마다 그 달에 알맞은 시령을 행하지 않으면 천시(天時)에 영향을 주어 괴변이 생긴다고 여겼다. 이러한 작업은 정치적·사회적 질서에 정당성을 부여해 주는 것으로 음양오행론의 이론과 유가적인 정치철학을 결부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유교도덕적인 오상(五常), 즉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이 오행과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인은 목과 동에, 의는 금과 서에, 예는 화와 남에, 지는 수와 북에, 신은 토와 중앙에 연결된다.
음양오행설이 우리 나라에 전래된 것은 삼국시대부터이다. 이 시기에 음양오행설이 전래된 흔적은 고구려나 백제의 고분벽화에서 나타나는 사신도(四神圖), 즉 현무(玄武)·주작(朱雀)·청룡(靑龍)·백호(白虎)의 그림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신라 황룡사 9층탑의 심초석(心礎石) 아래의 적심석(積心石) 사이에서 청동거울에 사신(四神)이 양각되어 있는 것이 발견된 사실도 이를 뒷받침한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