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작명과 성명학에서 초성과 종성(받침자음)이란 무엇인가?- 한글성명학 수리성명학 유명한 작명소
Page info
Writer 현운역리원작명연구소 Date18-12-17 00:00 Hit24 Comment0Link
-
https://youtu.be/J88MYfqMkOg 1- Connection
Body


작명이나 개명시 대부분의 작명가(소)는 받침자음(종성)을 아예 무시하고 초성(첫소리)만 상생이면 다 좋은 이름이라고 우기면서 '김민준'을 ㅁ,ㄴ,ㄴ자음을 어디다 버리고 '기미주(목수금)'가 좋은 이름이라고 작명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제대로 된 올바른 작명은 한글소리가 반드시 받침자음도 상생으로 초성과 종성이 전체가 상생하는 이름을 작명해야 한글소리가 빵점이라는 소리를 듣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즉 '김민준'은 ㅁ,ㄴ,ㄴ자음의 영향으로 '목수수화금화'로 전체가 상극인 이름이라 풀이되어 한글성명학적으로는 조합할 수 없는 이름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만약 '김'씨가 ㅁ자음(종성)을 버리고 '기'씨도 된다면 좋은 이름이나 성명학 자체가 없다는 논리가 맞는 것입니다
따라서 작명,특히 신생아의 작명시에는 반드시 종성인 받침자음도 살펴 이름전체가 상생의 이름으로 작명하셔야 그나마 좋은 이름 하나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이 영상에서 언급되는 내용은 성명학을 반드시 고려하는 경우에 한하며 작명이나 개명을 반드시 해야 하는 경우는 참고하시라는 뜻이지 이미 사용하시는 분들의 이름의 좋고 나쁨을 논하는 것은 이니며 전혀 무관함을 밝혀드립니다
현운역리원작명연구소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