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지윤 VS 송가인 사주풀이운세 - 일산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한적화 천수보살
Page info
Writer 굿엔트 Date21-02-09 00:00 Hit36 Comment0Link
-
https://youtu.be/OpUc7ih62-k 3- Connection
Body


#홍지윤 #송가인 #사주풀이운세 #용한점집추천 #유명한점집후기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추천 #점집후기 #한적화_천수보살 #일산점집 #재수굿 #신내림굿
한적화 천수보살
상담전화:010.8285.1811
상담장소:일산 시장(앞)
[굿엔트]촬영문의 010.9768.1638
[굿엔트]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M6gid2jm7Pc7d_wOrDgQQg
[굿엔트]네이버 https://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https://twitter.com/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https://ch.kakao.com/channels/@goodent1638
우리나라 전통의 민간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무속인의 이야기와 무속 문화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구독자 시청자 여러분 항상 좋은 날 되세요!
민속신앙 전문 유튜브채널 '굿엔트' -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홍지윤
출생 : 1995년 3월 3일 (25세)
국적 : 대한민국
학력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전통예술학부 연희예술전공 학사
별명 : 윤짱
소속 : 에스피케이엔터테인먼트
대한민국의 가수. 내일은 미스트롯2 유력한 우승 후보. 에이스전 대활약. 본선 3차 진(眞).
춘 엔터테인먼트의 연습생 출신으로, 여동생 홍주현과 함께 믹스나인에 참가하여 장윤정의 짠짜라를 불렀다. 그러나 동생과 달리 기획사 투어에서 합격하지 못했으며, 다리 부상으로 인해 춘 엔터테인먼트와 결별하고 연습생 생활을 마감했다.
동생 홍주현은 믹스나인 이후 너의 목소리가 보여/6기 세븐틴편(2019.02.22.), 보이스 코리아 2020(2020.05.29.)에 출연했다.
나무위키상세내용 자세한 내용은 내일은 미스트롯2/방영 목록/예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엄마 아리랑을 구성지게 부르며 아이돌부라는 편견을 깨고 정통트롯으로 올하트를 받았다.
1화 마지막 ~ 2화 시작 지난 이야기부터 두 번에 걸쳐 나왔으며, 2화에서 역대급 반전 보이스로 200만 뷰 돌파 자막이 나왔다.
마스터 오디션 결과 2020 '최고의 반전'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선(善)이 되었다.
아이돌부로 구성된 홍지윤, 김사은, 황우림, 허찬미 느낌좋지윤 팀이 정통트롯 미운 사내로 호평 받으며 본선 1차 팀미션을 올하트로 통과했다.
송가인 (본명 :조은심 (曺恩心))
출생 : 1986년 12월 26일 (34세)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앵무리
국적 : 대한민국
본관 : 창녕 조씨
가족 : 아버지 조연환, 어머니 송순단
오빠 조규창, 조성재
학력 : 광주예술고등학교 (국악과 / 졸업)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음악극 / 학사)
소속사 : 포켓돌스튜디오
데뷔 : 2012년 산바람아 강바람아 / 사랑가
팬덤 : AGAIN
2012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어머니 송순단은 국가 지정 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 씻김굿 전수교육조교이면서 무속인이다. 중학교 2학년 때 판소리를 시작해 광주예고를 거쳐 중앙대학교 국악대에서 음악극을 전공하였다. 2008년 전국판소리대회 대상, 2010년 2011년 판소리로 문화관광부 장관상을 2회 연속 수상하였다.
여담으로 둘째 오빠 조성재도 중앙대학교 국악대를 다녔고, 친남매가 2살 터울이라 두 학번 선후배관계이다. 오빠 조성재가 군에서 제대하니까 여동생 송가인과 같은 3학년이었다. 남매가 수업도 같이 들었다 하며 졸업년도도 같다 한다.
그러다 2010년 전국노래자랑 진도군 편에서 최우수상을 받고 그해 연말결선에서 우수상(2등)을 차지했다. 그 무대를 본 가요계 관계자가 연락을 해왔고, 트로트 연습을 거쳐 2012년 10월 [산바람아 강바람아][사랑가] 신곡을 내고 트로트 가수로 데뷔했다. 대부분의 트로트가수가 그렇듯 무명생활이 상당히 길었다.
서러운 무명가수생활을 하다 2019년 상반기 내일은 미스트롯에 출연하며 초반부부터 압도적인 우승 후보로 인기를 몰았고, 마침내 우승하여 미스트롯 진이 되었다.
미스트롯에서도 여러 차례 강조되었듯이 정통 트로트에서 무서운 파괴력을 보여 주는 보컬이다. 정통 트로트라 하면, 엔카의 영향을 받아 요나누키(ヨナ抜き) 단음계로 구성된 멜로디에 폴카와 같은 2비트 리듬으로 구성된, 원초적인 형태의 트로트를 말한다. 즉 정통 트로트는 사실 현대적인 세미트로트와는 음계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특유의 구슬픈 '뽕삘'이 강하게 풍긴다. (젓가락 장단이나 구음으로 '쿵짜작 쿵짝 짜가자가 짠짠' 과 같이 표현하는) 트로트는 원래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엔카와 거의 구분되지 않고 발전해 오다가, 해방 이후 국악의 발성법(떠는 목이나, 꺾는 목과 같은)과 결합한 장르이기 때문에,판소리를 전공한 송가인에게는 최적화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송가인의 노래를 들어보면 저음부터 고음까지 가리지 않고 파워풀한 소리를 내며, 판소리 전공자다운 묘한 허스키 보이스가 섞여 있어 남자 가수의 노래를 커버할 때도 독특한 매력을 준다.
사실 정통 트로트 자체가 이미 사장된 장르이고 특별히 정통 트로트를 표방하는 신곡조차 등장하지 않는 상태에서 정통 트로트를 주무기로 하는 가수가 인기를 얻은 것은 상당히 흥미로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엔카를 구사했기에 정통 트로트에 가장 가까운 음악색을 가진 김연자조차 한국에서는 세미트로트를 주무기로 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송가인이 미스트롯 결승무대에서 부른 '단장의 미아리 고개'만 해도 무려 1956년 작품이다.
사주(四柱):사람의 길흉화복을 점치기 위하여 파악하는 출생한 연·월·일·시를 가리키는 종교용어.
사람을 하나의 집으로 비유하고 생년·생월·생일·생시를 그 집의 네 기둥이라고 보아 붙여진 명칭이다. 각각 간지 두 글자씩 모두 여덟 자로 나타내므로 팔자라고도 한다. 그리고 사주팔자를 풀어보면 그 사람의 타고난 운명을 알 수 있다 해서 통상 운명이나 숙명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사주는 간지로 나타내는데 ‘간(干)’은 10가지이므로 ‘십간’이라 하고, 사주의 윗 글자에 쓰이므로 천간(天干)이라고도 한다.
‘지(支)’는 12가지이므로 ‘십이지’ 또는 사주의 아랫 글자에 쓰이므로 지지(地支)라고도 한다. 천간은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의 10가지이며, 지지는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의 12가지이다.
천간과 지지는 모두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으로 분류되고 또 방위와 계절 등을 나타낸다. 지지는 이밖에도 절후(節候)·동물(띠)·달[月]·시각 등을 나타낸다. 천간과 지지가 처음 만나는 갑자부터 마지막인 계해까지 순열 조합하면 육십갑자(六十甲子, 六甲)가 되는데 사주는 이 육갑으로 표현된다. 가령, 1911년 8월 25일 하오 6시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는 신해(辛亥)주 01)·병신(丙申)주 02)·정묘(丁卯)주 03)·기유(己酉)주 04)와 같이 된다.
사주를 세우는 데는 정해진 법식이 있으나 너무 번거로우므로 흔히 『만세력(萬歲曆)』을 이용한다. 왜냐하면, 『만세력』은 약 100년에 걸쳐 태세(太歲)·월건(月建)·일진(日辰)이 육갑으로 적혀 있어 찾아보기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세력』에 따라 사주를 세우는 데 있어 문제가 생기는데, 그 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역술(易術)에서는 입춘을 기점으로 새해가 시작된다. 따라서, 설을 쇠었더라도 입춘 전이면 묵은해의 태세로 연주(年柱)를 삼는다. 가령, 1920년은 육갑으로 경신년인데, 입춘은 음력으로 전년인 1919년(기미년) 12월 16일에 들었다. 연도는 아직 바뀌지 않았지만 이날부터 새해가 시작되므로 음력 1919년 12월 16일생의 사주는 기미년 정축월(12월)생이 아니라 새해인 경신년(1920) 무인월 (1월)생이 된다.
이와 반대로, 연도가 바뀌었더라도 입춘이 지나지 않았으면 묵은해의 태세와 월건으로 사주를 낸다. 이러한 현상은 윤달이 든 전후의 해에서 흔히 일어난다. 월주(月柱)는 인월(寅月, 1월)부터 지지 차례대로 축월(丑月, 12월)까지의 해당 월의 지지의 법식에 따라 천간을 붙인다. 달은 1일 기준이 아니라, 그 절기(節氣)의 시작을 기준으로 바뀌므로 1월생이라고 반드시 인월이 되는 것이 아님은 위의 예에서 본 바와 같다.
일주(日柱)는 『만세력』의 일진을 그대로 쓴다. 일주는 연도나 절기와는 무관한 고유 일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주(時柱)는 하루를 12시각으로 쪼갠 자시(子時)에서 지지순으로 해시(亥時)까지 해당시의 지지의 법식에 따라 천간을 붙인다. 월주와 시주의 천간 법식(월두법·시두법)은 [표 1]과 같다.
[표 1] 月頭法과 時頭法
연주·일주의 천간 연주천간에 따른 월주의 차례 일주천간에 따른 시주의 차례
甲·己 丙寅∼丁丑月 甲子∼乙亥時
乙·庚 戊寅∼乙丑月 丙子∼丁亥時
丙·辛 庚寅∼辛丑月 戊子∼己亥時
丁·壬 壬寅∼癸丑月 庚子∼辛亥時
戊·癸 甲寅∼乙丑月 壬子∼癸亥時
월주의 경우, 가령 연주가 갑자년이나 기축년 등 갑(甲)이나 기(己)가 천간인 사람이 진월(3월)에 태어났다면 병인(1월)에서 시작하여 정묘(2월)·무진 (3월)과 같이 육갑순으로 내려가 무진이 월주가 된다. 시주의 경우는 일주가 을미년이나 경술년 등 을(乙)이나 경(庚)이 천간인 사람이 묘시(5∼7시)에 태어났다면 병자(23∼1시)에서 시작하여 정축(1∼3시)·무인(3∼5시)·기묘(5∼7시)와 같이 육갑순으로 내려가 기묘가 시주가 된다.
또, 시주를 세우는 데 있어서는, 자시를 야자시(夜子時, 23∼0시)와 정자시(正子時 또는 朝子時, 0∼1시)로 나누어 거기에 따라 일주를 달리 세우기도 하고, 그 사람이 처하여 있는 위치에 따라서 더 세분하여 서울의 경우 0시32분47초를 새날의 분기점으로 잡기도 한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