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역술특강 제4주차 1강(오장육부질병과 건강과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Page info
Writer 과학자의 동양역술 | Ori… Date13-08-09 00:00 Hit22 Comment0Link
-
https://youtu.be/t_yjb6K6nfE 0- Connection
Body


동양의학은 서양의학이나 영양학과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나타내고 있다. 간단한 예를 들면 서양의학은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증상을 처리하는 대증요법이면서 오대영양소에 의한 에너지 구조를 다루고 있다. 음식 피라미드 시스템 등은 탄수화물, 단백질 그리고 지방과 미네랄과 같은 영양상의 문제를 가지고 건강문제를 다룬다. 그러나 동양의학은 이것과는 전혀 다른 학문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다. 물론 동양의학은 기(氣)를 다룬다. 목기의 간, 화기의 심장, 토기의 위장, 금기의 폐와 대장 그리고 수기의 신장과 방광이다. 물론 동양의 기는 서양의 에너지를 포함하나 이보다는 넓은 개념이다. 이러한 기를 가지고 동양의학의 약리학 이론은 기미론을 설파한다. 기미론과 체질론 운기론 등은 동양의학의 기본이 되는 개념이다
서양의학만 하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음식피라미드를 건강의 차원에서 각각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일반인들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상반된 건강과 영양 피라미드에 따라서 그들 가족의 건강이나 생명자체가 크게 영향을 받을수 잇음을 안다. 그런데 여기에 덧붙여서 동양의 의학은 이것과는 패러다임상에서 현격한 차이가 나는 다른 모델을 제공한다. 21세기 정보의 홍수속에서 최소한도 본인의 건강유지나 수신제가를 위한 도구로서 어떠한 건강정보를 스스로가 선택하여야 하는 지는 모두 본인 선택이며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가 져야한다는 것이 막중할수도 있다는데에 문제가 잇다,,,, 이 동영상은 적어도 이러한 문제를 위한 동의차원의 정보를 제공하고 잇는 것이다. 21세기 말법의 백천간두의 어지러운 시대에 수신제가의 작은 소임을 다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정보일수도 잇을 것이다
오장육부 질병의 첫번째로 오행상생상극의 그림에서 오장육부와 오곡의 유기적인 관계를 설명한다. 여기서 목화토금수의 수는 단순 물이 아니고 보다 포괄적인 개념의 수가 된다. 이러한 동양의학의 패러다임은 서양의 분석학적인 개념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매우 포괄적이고 심오한 개념이다 대전 충남대학교 장동순 교수 (제 공식 까페는 http://cafe.daum.net/Jangds입니다. 강의내용 등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세요!)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