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 : 실용주의와 보편적 사랑 (feat. 양주. 맹자. 예수. 칸트. 겸애. 아카페)
Page info
Writer 5분 뚝딱 철학 Date22-09-19 00:00 Hit21 Comment0Link
-
https://youtu.be/eNVPAuLyXFg 1- Connection
Body


묵자(B.C.480?~B.C.390?)의 본명은 묵적이고, 제자백가 ‘묵가’를 창시한 사람이에요. 그가 검다는 의미의 ‘묵墨’이란 성을 갖게 된 것에는 다양한 설이 존재하는데요. 죄인의 얼굴에 먹물로 낙인을 찍었기 때문이라는 설과 묵자의 피부가 무척 검었기 때문이라는 설 등이 있어요. 검은 피부색은 외국인이거나 혹은 밖에서 힘든 일을 하는 노동자였음을 나타내는데요. 이 설들은 공통적으로 묵자가 귀족 계층이 아니었음을 의미 합니다. 그래서인지 묵자의 학설은 귀족을 위한다기보다 서민을 위해요.
묵자는 서민의 가장 고통스러운 것 세 가지를 ‘굶주린 사람이 먹지 못하는 것’, ‘헐벗은 사람이 입지 못하는 것’, ‘노동 한 사람이 쉬지 못하는 것’으로 꼽고 이 세 가지 고통을 제거하여 최소한도의 생존 조건을 보장해 주는 것을 목표로 삼았어요. (묵자, 박문현 옮김)
보편적 사랑을 주장한 실용주의자 묵자의 철학을 ‘겸애, 비공, 절용, 절장’을 중심으로 한번 살펴 보도록 할게요.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