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이야기] 2023년 서학개미 순매수 1위 TMF | 미국채 ETF TLT ZROZ IEF와 TMF 의 비교 분석 | 인…
Page info
Writer J UTOPIA Date23-04-22 00:00 Hit34 Comment0Link
-
https://youtu.be/Olk7BAfkD9o 6- Connection
Body


#미국채 #TMF #TLT #미국채ETF
[투자이야기] 2023년 서학개미 순매수 1위 TMF | 미국채 ETF TLT ZROZ IEF와 TMF 의 비교 분석 | 인플레이션 금리사이클에서 미국장기채 신중하게 투자하기
2023년 4월 21일 까지 국내 해외주식투자자를 말하는 '서학개미'가 투자한
순매수 종목 1위는 'TMF' (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ares ETF ) 였습니다.
8위는 'TLT' ( iShares 20 Plus Year Treasury Bond ETF ) 에 해당될 정도로
국내 개인투자자는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고점 이후 고점유지와 인하단계를 고려한
장기 미국채 투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TMF ETF 는 TLT 의 성과를 3배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로
레버리지 ETF의 특성상 기초자산이 크게 하락하면 MDD가 너무커지게 되어
장기투자에 불리함이 있습니다.
1970~1980년 인플레이션 시대가 끝나고
1980년 부터 2020년 까지 40년간 디플레이션 기준금리 시대를 지내는 동안
기준금리의 고점과 저점은 계속해서 낮아져왔고
2010년~2021년 기간동안 TMF, TLT, ZROZ를 비교해보면
TMF - CAGR 12.56%, MDD -50%
ZROZ - CAGR 9.94%, MDD -28%
TLT - CAGR 7.07%, MDD -20%
로 TMF는 MDD가 높지만 높은 CAGR로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2022년 연준이 기존에 없던 속도로 기준금리를 높이면서 채권 역사상 최악의 손실이 나게 되었고 duration 이 클수록 그 손실이 더 컸습니다.
그후 이번 단기 금리사이클에서는 전사이클의 기준금리고점(2.5%)를 넘는 고점(5%)를 만들며
40년동안 이어온 디플레이션 기준금리 사이클을 마감하고 인플레이션 기준금리 사이클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렇게 2022년의 결과치를 넣은 성과를 보면
2010년 ~ 2023년 TMF TLT ZROZ는
TMF - CAGR 2.15%, MDD -84%
ZROZ - CAGR 5.36%, MDD -53%
TLT - CAGR 3.95%, MDD -41%
로서 디플레이션 금리사이클 11년 + 인플레이션 금리사이클 1년 이 추가된 것만으로도
장기 미국채 ETF들의 CAGR과 MDD의 하락폭이 심한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레버리지 ETF인 TMF의 경우 더 심했습니다.
MDD는 무려 -84%.
미국채는 디플레이션에 최적화된 자산으로서
현재 인플레이션 구간이 마무리되어야 미국채의 추세적인 우상향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인플레이션의 종료 시기를 알 수 없고
이번 사이클은 기준금리 저점이 0% 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TLT 상승폭은 과거 사이클 보다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TMF의 경우 큰 MDD 대비 위험대비 수익률이 떨어질 수 있어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평범한 개인투자자가 본업에 충실하며 passive 하게 투자하여
투자성과를 내고 경제적 자유를 이뤄가는 여정을 공유합니다 :D
#자산배분
#자산배분투자
#투자이야기
#기준금리
#미국기준금리
#금리인상
#기준금리인상
#금리고점
#기준금리인하
#안전자산
#미국국채
#장기미국채
#채권ETF
#국채ETF
#ZROZ
#IEF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금리사이클
#기준금리사이클
#연준
#채권
#미국장기채
#미국중기채
#CAGR
#연평균기대수익률
#MDD
#최대손실폭
#변동성
#위험대비수익
#레버리지ETF
#미국채레버리지ETF
#금융위기
#경기침체
#서학개미
#해외투자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