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전고 울린 서학개미…엔비디아·알파벳이 '효자' /[뉴욕증시 A to Z]/한국경제TV뉴스

본문 바로가기

명서학

명서학

승전고 울린 서학개미…엔비디아·알파벳이 '효자' /[뉴욕증시 A to Z]/한국경제TV뉴스

Page info

Writer 한국경제TV뉴스 Date21-12-27 00:00 Hit26 Comment0

Body





#서학개미 #엔비디아 #알파벳

앵커
뉴욕증시 A to Z, 조연 기자와 함께 합니다. 조 기자, 올해 마지막 'A to Z'는 2021년 한 해 동안 뉴욕증시에서 주목받은 기업들을 결산하는 시간인가요?

기자
네. 연말이면 개인투자자 순매수 상위 또는 수익률 상위 종목들을 정리해보지 않습니까. 아무래도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산 미국 주식은 어떤 종목인지 아실 것 같은데요. (앵커 답) 그렇다면 미국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산 종목은 무엇일까요?

앵커
글쎄..

기자
맞습니다. 바로 애플인데요. 오늘 서학개미뿐 아니라 미국 개미들, 그러니까 엄밀히 이야기하면 뉴욕증시에 투자하는 글로벌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수익률 상위 종목들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앵커
좋습니다. 그럼 먼저 서학개미들의 성적부터 살펴볼까요?

기자
올해 국내 투자자들의 미 주식 순매수 상위 종목은 10개 모두 플러스 수익률을 달성했는데요. 순매수 상위,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하고 종목으로만 보면 테슬라, 애플, 알파벳 클래스A, 엔비디아,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ASML홀딩스 순이었습니다. 이들의 평균 수익률은 50%대에 달했는데요. 순매수 규모 1위는 테슬라가 2년 연속 차지했고, 가장 높은 수익률을 안겨준 것은 엔비디아입니다. 현재 지난 7월 나스닥에 상장한 루시드의 경우 순매수 13위에 올랐는데, 이전 SPAC이었던 처칠캐피털IV가 11위에 올라있거든요. 이 둘의 순매수액을 합치면 6위인 메타보다도 많습니다.

앵커
올해 미국 증시는 말이 필요 없을 정도의 열풍을 보이지 않았습니까.

기자
네. S\u0026P 500은 지난 목요일,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두고 68번째 사상 최고가 경신을 기록하며 마감했습니다. 이는 역대 2번째로 높은 사상 최고치 경신 기록인데요. 1995년 77차례 최고치를 경신한 이후 26년 만에 이 같은 대기록을 세운 것이죠. S\u0026P 500 지수는 올 한해 약 27% 상승하며, 연초 월가의 전망치였던 '10% 상승'을 훌쩍 웃돌았습니다. 특히 뉴욕 증시의 상승세를 이끈 것은 바로 retail investors, 개인 투자자들이었는데요. 골드만삭스도 "2021년 주식시장은 미국 개인투자자들이 훔쳐갔다"라는 평을 내놓을 정도였죠.

앵커
그렇다면 글로벌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산 종목 톱 10부터 살펴볼까요?

기자
먼저 1위는 앞서 이야기한 애플(AAPL) 입니다. (자료: 글로벌 투자분석 회사 '반다리서치') 순매수 금액은 119억달러 달러, 올 한해 32.85%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종목 순매수 상위 리스트에서는 2위에 자리했습니다. 애플은 시총 3조 달러 달성을 할 듯 말 듯 지난 2주간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데, 새해에 3조 달러 시대를 열 것이란 기대가 높습니다. 2위는 AMD입니다. 74억달러의 순매수 규모, 연초 대비 상승률은 59.35%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11월말 연고점을 기록한 후 지금 소폭 하락했지만, 최근 글로벌 파운드리와의 협력 규모를 넓히면서 가격 경쟁력을 더욱 높이는 모습입니다. 3위가 눈에 띄는데요. 바로 밈(Meme) 스탁으로 유명한 AMC입니다. 대형 극장 체인이죠. 올해 주가 상승률이 무려 1,245%에 달합니다. 또 다른 밈주식인 게임스탑 역시 800%의 주가 상승세를 나타냈는데요. 12월 들어 밈 주식이 동반 하락세를 나타냈지만 여전히 연초 대비 높은 주가 수준입니다. 이어서 빅데이터 분석 유니콘 기업인 팔란티어와 거대 통신서비스 업체 버라이즌, 그리고 서학개미들이 좋아하는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엔비디아 등이 차례로 뒤를 이었습니다.

앵커
서학개미 순매수 상위 종목과 크게 다르진 않을 것 같은데요.

기자
맞습니다. 테슬라와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이들 빅테크를 비롯한 IT 성장주들의 한 해 였기 때문이겠죠.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올해 4월 이후 현재까지 이 5개 회사의 주가 상승이 같은 기간 S\u0026P 500의 상승폭의 절반 이상을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올 연초로 시계열을 넓혀도 이들 5개 종목의 지수 상승 기여도는 30%를 웃도는데요.
이 같은 빅테크들의 존재감 확대에 월가에서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빅테크 실적이 무너진다면 그 외 시장을 지탱할 수 있는 것이 그 무엇도 없는 상황이라는 겁니다. 또 2022년에는 미 연준의 긴축 가속화가 예고된 만큼, 빅테크로 대표되는 성장주의 시대가 저물어간다는 전망도 일각에서 부상했습니다. 새해 글로벌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대장주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해봐야 할 포인트입니다.

앵커
수익률 상위 종목은 어떻습니까? 빅테크들이 또 차지했나요?

기자
아닙니다. 빅테크 중에 수익률 상위 탑 10에 든 것은 엔비디아가 유일했습니다. 지금 보시는 표는 대형주 중심의 S\u0026P 500 종목 상위 수익률 10개 기업인데요. 1위는 데본 에너지 였습니다. 사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경영난에 시달리던 미국 셰일 생산업체인데요. 1월 또 다른 셰일기업인 WPF에너지와의 합병을 추진하면서 경영 정상화를 이끌어 냈습니다. 데본 에너지 외에도 미국 최대 정유기업인 마라톤 페트롤리엄이 3위, 셰일 유전 개발업체 다이아몬드백 에너지가8위에 자리하는 등 등 에너지 관련주가 상위 10개 중 3개나 차지했는데요. 코로나팬데믹 이후 경기회복 기대감에 유가상승까지 더해지면서 올 한해 에너지주의 강세를 이끌었습니다. 연초 배럴당 50달러대였던 국제 유가는 10월 85달러에 도달하면서 7년만의 최고치 수준으로 치솟았죠. 2위는 코로나19 백신 제조업체 모더나인데요. 사실 지난주만해도 모더나가 1위를 차지했었는데, 좀 내려왔습니다. mRNA 기술이 모더나의 경쟁력이죠.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모더나나 화이자 등 지금까지 개발된 백신들이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사실 분분한 상황입니다. 4위에는 IT 보안서비스 솔루션 회사 포티넷이, 5위는 목욕용품 전문업체 배스앤바디웍스가 자리했습니다. 그리고 6위는 포드입니다. 올해 전기차, EV들의 선전 속에서도 살아남은 전통차 기업이죠. 올해 3분기까지 2020년 전체보다 10% 증가한 매출을 기록했고, 2023년 EV 생산능력을 60만대로 키우겠다라는 목표 등이 시장을 주목케 했습니다. 9위는 미국의 100년된 철강회사 누코어가, 10위는 빅데이터 시장조사기관이자 컨설팅회사인 가트너가 자리했습니다.

앵커
S\u0026P 500에 속하지 않은 IT 성장주들은 어떤게 있었나?

기자
올해 신규 상장사를 제외하고 시총 50억달러 이상의 미국 기술주 중에서 가장 크게 오른 기업은 업스타트입니다. 머신러닝을 이용해 소비자 대출을 보증하고 은행 기업인데, 올해 주가가 263% 상승했구요. 개인 PC용 터치패드와 스크롤패드를 개발하는 시냅틱스 역시 188% 높은 퍼포먼스를 나타냈습니다.

앵커
여기까지 듣죠. 수고햇습니다.

[기사원문보기]

△대한민국의 경제를 보세요!
△구독좋아요 그리고 알람설정하세요!

-#한국경제TV뉴스 #뉴스플러스 #경제 #투자 #한경
△'한국경제TV 뉴스' 유튜브 구독
https://bit.ly/3nlLPEu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1,474건 37 페이지
게시물 검색
exr.kr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bkts.co.kr 부동산 다시보기
dcbooks.co.kr 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 겜TV
haevich.kr 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 케이팝 위즈
manoinfo.com 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 짤방로그
parrot.or.kr 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SITEINFO

dcbooks.co.kr
My own VLOG Diary that only scraps Youtube videos that I am interested in.

Mail :
cs@epr.kr

NEWS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727
어제
1,732
최대
7,665
전체
2,478,465
Copyright © www.dcbook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