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과 돈이 생기는 인연을 맺어야 할 사람 - 보는 것이 바뀌면 얻는 것도 바뀐다 - 안산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연화암 이보

본문 바로가기

부모운

부모운

운과 돈이 생기는 인연을 맺어야 할 사람 - 보는 것이 바뀌면 얻는 것도 바뀐다 - 안산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연화암 …

Page info

Writer 굿엔트 Date20-08-10 00:00 Hit31 Comment0

Body





#운과_돈이_생기는 #인연을_맺어야_할_사람 #보는_것이_바뀌면 #얻는_것도_바뀐다 #연화암 #이보 #용한무당추천 #안산점집 #근처점집 #점집추천 #점집후기 #재수굿 #신내림굿

연화암 이보
[상담전화] 010.8777.9782
[상담장소]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1070-16번지 칠성플러스타운 401호 연화암

[굿엔트]촬영문의 010.9768.1638
[굿엔트]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M6gid2jm7Pc7d_wOrDgQQg
[굿엔트]네이버 https://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oodent1638
[굿엔트]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https://twitter.com/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https://ch.kakao.com/channels/@goodent1638

우리나라 전통의 민간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무속인의 이야기와 무속 문화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구독자 시청자 여러분 항상 좋은 날 되세요!

민속신앙 전문 유튜브채널 '굿엔트' -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며느리:아들의 아내를 가리키는 친족용어.자부.
한자어로는 자부(子婦)라 한다. 조카의 아내는 조카며느리(姪婦), 손자의 아내는 손자며느리(孫婦)로 일컫는다. 조선시대 가례가 정착되며, 혼례 후 신부가 폐백을 드리고 신랑의 아버지·어머니에게 처음으로 절을 올리고 나면(見舅姑), 며느리 지칭을 받게 되었다. 조선시대는 이러한 절차를 통해 신부는 시부모를 친부모와 같이 섬겨야 하며, 출가외인(出嫁外人)으로 평생을 시집식구가 된다고 여겼다.

전통적 대가족제도 하에서 며느리가 지켜야 할 일을 적시한 책으로는 부녀자들의 수신교과서라 할『여사서』·『열녀전』·『소학』등이 있고, 이밖에 이황(李滉)의 『규중요람』, 송시열(宋時烈)의『계녀서』, 이덕무(李德懋)의『사소절』중「부의(婦儀)」등 집안 부녀자들의 교육을 위해 지어진 책들도 있다.
며느리의 도리 첫째는 시부모에게 효도해야 하고 집안을 화목하게 이끌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남편에 대한 질투를 버려야 하고, 멀고 가까운 친척들을 아끼고 섬겨야 한다. 둘째는 집안 제사를 받드는 일과 손님 대접에 정성을 다해야 한다.『계녀서』에 따르면, “제사는 정성으로 정결하며 조심함이 으뜸이니, 제사 음식을 장만할 때 걱정을 하지 말고, 종도 꾸짖지 말고, 크게 웃지도 말며, 어린아이가 보채도 젖을 주지 말고, 정성으로 머리 빗고 목욕을 하되 겨울에 춥다고 이를 실행하지 않으면 안 되며, 빛깔이 화려한 옷을 입지 말고, 손톱·발톱도 깎아야 한다”고 했다. 셋째는 밤낮으로 부지런히 바느질·길쌈·누에치기·음식마련에 힘을 써야 하고, 일상의 살림살이에 근검·절약해야 한다.
며느리에게 부과된 시집살이의 어려움은 어렵지 않게 확인해볼 수 있는바, “가가례(家家禮)가 다 다르니 배운 바도 적거니와, 본가에서 보던 일도 시댁에는 혹시 없어, 시댁에서 보는 일도 본가에 혹시 없어, 범백사(凡百事)를 배우려니 답답한 때 실로 많다”는 가사, “고초 당초 맵다한들 시집살이 당할소냐, 열두폭 다홍치마 눈물 받아 다 썩었네.” 하는 민요, ‘며느리 발뒤축이 달걀 같다고 나무란다’, ‘미운 열 사위 없고 고운 외며느리 없다’, ‘며느리 시앗은 열도 귀엽고 자기 시앗은 하나도 밉다’, ‘배 썩은 것은 딸 주고 밤 썩은 것은 며느리 준다’ 등의 속담 등이 전해오고 있다.
며느리 입장에서도 불평·불만이 없을 수 없다. “범 같은 시아버님 쳐다보기 숭스럽고/참새 같은 시어머님 아무 작죄 없건마는/무관히 한숨소래 머리끝에 절로 새네/체면 없는 염소 낭군 눈 맞으면 웃자 하고/원수 같은 어린 시누 잠불이칙[暫不離側] 무슨 일고/이모저모 뜯어보고 말 전하기 이력났네” 같은「화수가(花樹家)」나, “시어머님 며늘아기 나빠(나쁘다고) 벽바흘(부엌바닥을) 구르지 마오/빚에 받은 며느린가 값에 처 온 며느린가, 밤나무 썩은 등걸에 휘초리나 같이 알살피신(매서우신) 시아버님, 볕 뵌(쬔) 쇠똥같이 되종고신(말라빠진) 시어머님, 삼년 결은 망태에 새 송곳 부리같이 뾰족하신 시누이님, 당피 갈은 밭에 돌피 나니 같이 샛노란 외꽃 같은 피똥 누는 아들 하나 두고/건밭의 메꽃 같은 며느리를 어데를 나빠하시는고” 같은 사설시조에는 시어머니는 물론 시아버지·시누이·남편을 향한 며느리의 서러움이 생생하게 토로되고 있다.
그러나 민요 및 가사와는 달리『계녀서』·『퇴계선생언행록(退溪先生言行錄)』등에서는 “자손이 허물이 있으면 준엄하게 꾸짖지 않고, 경계하고 가르치어 타이르기를 반복하여 스스로 느껴서 깨닫게 하니, 비록 비복 또한 일찍이 성내어 꾸짖음을 더하지 않았고 규문(閨門)의 안과 밖이 기뻐하고 유쾌하며 엄숙하고 화목하니, 목소리와 얼굴빛이 움직이지 않으나 만사가 스스로 다스려졌다”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시부모는 며느리에게 인자하고 온후한 것이 법도요, 며느리도 아들·딸과 다를 것이 없음을 가르치고 있다.

며느리 도리와 위상에도 의미있는 변화가 진행되어, 혼인 후 신부집 가까이에 거처를 마련하는 신모거제가 증가하면서 여성들의 며느리 정체성은 약화되고 고부갈등을 대신하여 장서(사위-장모)갈등이 서서히 등장하고 있다. 장남부부를 통해 고부관계의 변화에 주목한 연구는 고부관계 및 부부관계를 강제된 증여, 선택의 증여, 자유로운 증여, 단절된 증여 등으로 유형화하면서, 며느리의 사회활동을 토대로 상호독립적 고부관계를 이상적 고부관계의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아들:남자로 태어난 자식.
보통 생물학적 관계를 암시하는 이 말은 한 사회나 집단의 모든 남자들에게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 단어는 가족관계에서의 직접적인 후사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하며, 연장자가 아랫사람을 애정적으로 대할 때 쓰이기도 한다.
또한, 어떤 성질을 나타내는 명사와 함께 사용된 이 말은 교만·강직·우직 등의 도덕적인 특성의 일부를 지적할 때 쓰이기도 한다.
가끔 종교적으로 ‘하느님의 아들’로서의 예수가 그의 제자들에게 메시아라는 것을 선언하였듯이 세상의 죄를 지고 가는 하느님의 어린 양으로, 또는 새 언약의 증보자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아들은 딸과 함께 부모의 결합에 의하여 염색체·생식선·내부조직·외부적 생식조직·호르몬분비·발육·성심리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성 구분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런 모든 요인이 생리적 측면에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는 문화적 영향도 크게 받고 있다. 가족이 남성과 여성으로 구성되고 이 양성간의 결합에 의하여 아들과 딸이 출생함으로써 부부는 비로소 완전한 가족을 이루게 된다.
자녀는 가족을 완성시키는 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특히 중매혼을 하는 부계사회에서는 혼인의 목적이 자녀를 출산하는 데 있듯이 오히려 자녀를 위해서 존재하기도 한다.
이러한 부계사회에서 부모는 자녀의 출산을 기다리며, 출산된 자녀에 대하여 남녀의 구별을 두어 아들과 딸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달리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아들 중에서도 장남과 차남, 적자와 서자 등을 구별하여 그들에게 각기 다른 권리와 의무를 부여하기도 하였다.
아들은 딸과 함께 부모의 신분적 위치에 따라 객관적 신분이 규정지어지나, 자아나 인격형성은 주로 부모의 영향 아래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아들은 성년기가 되기까지 주로 부모의 영향 아래에서 지내게 되며, 부계사회인 한국의 직계가족에서는 가장인 아버지를 이을 후계자로서의 신체적·심리적 성장, 지식섭취, 사회적 적응 등을 위한 노력이 이 기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구축되어진다.
따라서 남자나 여자가 성별적 존재로서의 구분이라면, 아들은 딸과 함께 그들을 낳은 부모와의 관계에 의하여 그 존재가 인정되고 지칭될 뿐만 아니라, 특히 인륜적이고 종속적 존재로서의 가족의 구성원이자 그 가족의 후계자로서의 권리와 의무가 주어지는 가족구조의 핵을 이루는 존재이다.
아들 또는 남성은 일반적으로 딸 또는 여성에 비하여 두드러진 성차를 가진다. 그것은 특히 신체적으로 성적 욕망과 성격 및 행동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며, 이러한 성차의 요인은 생물학적·심리학적·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하여 주로 결정지어지며, 이에 따라 가족관계에서 교육과 양육의 방식이 현저하게 달라지기도 한다. 아들은 출생 때 딸보다 크고 강하지만 그 뒤 신체적 성장과 성숙의 정도에 있어서는 딸보다 늦다.
신생여아는 아들보다 말하고 걷는 것을 먼저 배우고, 움직임이 세련되고 집중력이 있는 반면, 신생남아는 몸을 크게 움직이는 자발적 행동을 많이 보인다.
두뇌기관의 성차는 별로 크지 않으나 단지 남아는 광간지각력이 있는 오른쪽 두뇌를 많이 쓰고 여아는 언어지각력이 있는 왼쪽 두뇌를 많이 쓴다. 성인 남성은 여성보다 키가 크고 무거우며, 가슴이 넓고 근육도 크고 강하다.
출생률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으나 사망률은 남아가 높다. 그러나 극빈한 환경 속에서는 여아의 희생률이 더 높다. 아들 혹은 남성은 여성 혹은 딸보다 성욕이 긴급하고 충동적이다.
전자가 육체적 만족과 정신적 사랑을 구별할 수 있다면, 후자는 정신적 사랑에 육체적 성을 결부시키는 경향이 있다. 성격 또한 전자가 도전적·호전적이라면, 후자는 가정적·평화적이다.
전자가 자아표현에 있어 외향적·이론적·논리적·능동적이라면, 후자는 내향적·감정적·수동적·소극적인 행동양식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남녀 혹은 아들과 딸의 성구별은 즉각적으로 정하여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물학적·사회문화적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비롯되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성차를 일으키는 생물학적 요인은 우선 염색체와 호르몬에 의한 영향을 들 수 있다.
개체의 발달을 결정짓는 유전인자를 품고 있는 염색체와 남아와 여아로 발전하는 차이를 빚어주는 호르몬의 양적인 비율에 따른 생물학적 요인이 그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심리학적 요인을 토대로 한 학설에 의하면, 자녀의 사회화과정에서 아들은 어머니와, 딸은 아버지와 두드러진 친밀감 내지는 성적 복합심리를 가진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1,173건 24 페이지
게시물 검색
exr.kr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bkts.co.kr 부동산 다시보기
dcbooks.co.kr 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 겜TV
haevich.kr 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 케이팝 위즈
manoinfo.com 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 짤방로그
parrot.or.kr 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SITEINFO

dcbooks.co.kr
My own VLOG Diary that only scraps Youtube videos that I am interested in.

Mail :
cs@epr.kr

NEWS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491
어제
1,841
최대
7,665
전체
2,474,807
Copyright © www.dcbook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