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소원 천운 천복을 거머쥔 여인의 부부금실운 , 자녀운 , 금전운 , 재물운 지킬 수 있을까? - 충남 홍성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수향보살

본문 바로가기

자녀운

자녀운

함소원 천운 천복을 거머쥔 여인의 부부금실운 , 자녀운 , 금전운 , 재물운 지킬 수 있을까? - 충남 홍성 용한 무당 점집 …

Page info

Writer 굿엔트 Date20-03-11 00:00 Hit52 Comment0

Body





#함소원_사주_운세 #천운_천복 #부부운_자녀운_금전운_재물운 #2020_신년운세 #용한무당추천 #용한점집추천 #용한점집후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점잘보는집 #근처점집 #수향보살 #성주운 #성주굿 #재수굿

미트터트롯 임영웅 신드롬 트로트 영웅의 앞날은 신점 사주
https://youtu.be/k4E7tqtHRgQ

수향보살
상담위치:충남 홍성군 광천읍 광천로 329번길 54-2 (광천역 앞)
상담문의:010-9222-4784

[굿엔트]촬영문의 010.9768.1638
[굿엔트]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M6g...
[굿엔트]네이버 https://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https://twitter.com/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https://ch.kakao.com/channels/@gooden...

우리나라 전통의 민간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무속인의 이야기와 무속 문화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구독자 시청자 여러분 항상 좋은 날 되세요!

민속신앙 전문 유튜브채널 '굿엔트' -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소원
탤런트, 미스코리아
신체
172cm, 50kg
데뷔
2003년 싱글 앨범 [So Won No.1]
수상
2018년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예능부문 여자우수상
1997년 미스코리아 태평양
경력
2007.02 세계힙합페스티벌 홍보대사
앨범
2003.07 So Won No.1 (Single)
2008.03.28 So1
방송
아내의 맛 2018 ~ 2020
대박가족 2002 ~ 2003
영화
색즉시공
2014 특공 아미라 조연
2005 여기는 어디냐? 주연 - 미영
2002 단역 - 김현희

대감굿:‘대감거리’·‘대감놀이’라고도 한다. 대감신은 집터를 관장하고 수호하는 신으로, 흔히 ‘터주’ 또는 ‘터줏대감’이라고 한다.
‘대감’이라는 명칭은 신라시대 이후 무관(武官)의 명칭에서 유래된 것이라고도 하고, 또한 대감의 ‘감’은 신을 의미하는 고대어 ‘검’·‘ᄀᆞᆷ’에서 기원한 것이므로 대감은 큰 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대감의 종류는 상산대감·본향대감·별상대감·군웅대감·몸주대감·도깨비대감·안산대감·밖산대감·걸립대감·터줏대감 등 그 수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아 ‘만대감’이라고도 하는데, 이 굿에서 ‘대감’은 터줏대감을 가리킨다. 이 신은 울타리 안 전체뿐만 아니라 대문 밖 마당까지 관장하는데, 집의 건물은 성주신이 관장하므로 대감신의 관할이 아니다.
집터는 그 집의 운수와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믿어지므로 대감신은 특히 집안의 재운(財運)을 주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감신은 재물을 불려주는 대신, 많은 제물을 바쳐 즐겁게 먹고 마시며 놀 수 있도록 하여줄 것을 원하는 자만심이 강하고 놀기 좋아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대감신에게 제물을 많이 바치면 그만큼 재물이 많이 생기고, 또 생긴 만큼 제물을 많이 바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상대성이 있다. 재수굿이나 경사굿의 열두거리에서는 이 대감놀이가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전체 굿을 대감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굿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복(戰服) 차림에 전립(戰笠)주 01)을 쓴 무녀가 만수받이(굿할 때 한 사람이 소리하면 다른 사람이 따라서 같은 소리로 받는 것)로 여러 대감신을 청한다. 무악(巫樂)에 맞추어 삼지창과 청룡도를 들고 춤을 추고, 여러 번 무복을 갈아입고 덧입으며 여러 신이 오신 것을 표현한다.
터줏대감이 강신(降神)하면 무녀는 소다리를 얹은 떡시루를 이고 안마당과 장독대, 뒤꼍 등 집 안팎을 모두 돌아다니면서 술과 떡을 뿌린다. 다시 굿청에 돌아오면 굿상의 제물이 너무 적다고 집주인과 승강이를 벌인다.
무당은 돼지머리와 소다리를 들고 사람들을 위협하고 화난 시늉을 하다가, “욕심이 많은 내 대감, 탐심이 많은 내 대감, 앞다리 선각(先脚) 뒷다리 후각, 양지머리 걸안주, 외시루 독반을 받던 내 대감”이라는 「대감타령」을 부른다. 이 무가(巫歌)에서 먹고 놀기 좋아하며 욕심이 많은 대감의 성격이 잘 드러난다.
이어서 신어(神語)인 ‘공수’를 주는데, 여기에서도 대감신이 도와주어서 부유해진 것에 비하여 차린 제물이 너무 적고 초라하다고 불평하면서 “이 집의 재수를 모지랑 빗자루로 싹싹 쓸어버리고 싶다.”고 위협하다가, “그래도 그럴 수가 없으니 재수사망을 섬겨주마.”는 약속을 하고 떠나간다.
이때 무당은 춤과 행동으로 재물을 도와준다는 것을 표현한다. 부채를 가지고 휘저어 안으로 부쳐 주부의 치마폭에 담아주기도 하고, 소다리를 가지고 긁어모아서 주부에게 주는 시늉을 하기도 하는 등, 재물을 밖에서 안으로 넣어주는 행위를 한다. 결국, 대감신은 재물의 운수를 도와주었으니 재물을 받을 권리가 있고, 또 도와줄 수 있다는 능력을 과시하는 것이다.
관서·관북 지방의 무속에도 대감굿이 있으나 서울·중부 지방에서처럼 터줏신이나 재물의 신으로서 기능이 뚜렷하지 않고, 오히려 무장(武將)으로서의 성격이 강한 편이다. 또한, 남부무속에서는 없거나 존재가 약하다. 대감굿은 재물의 운수가 집터와 관련된다는 풍수적인 신앙과 집의 각 부분을 여러 신이 각각 관장한다는 신앙이 무속으로 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주 영등굿:음력 2월 제주도에서 영등신에게 어업과 해녀 채취물의 풍요를 비는 마을굿.
음력 2월에 영등신에게 올리는 당굿으로 마을에서 행하는 당굿이지만, 그 마을의 수호신인 본향당신(本鄕堂神)이 아닌 영등신을 맞이하여 어업과 해녀 채취물의 풍요를 비는 굿이다.
영등은 ‘연등(燃燈)’·‘영등(迎燈)’ 등의 한자표기가 보이나, 오늘날 민간에서는 ‘영등할망(영등할머니)’이라고 하여 여신으로 생각되고 있다.
영등신은 본래 ‘강남천자국’ 또는 ‘외눈박이섬[一目人島]’에 사는 신인데, 이 나라에서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에 제주도로 찾아왔다가 이 달 15일에 다시 본국으로 돌아간다고 한다.
제주도 동쪽 끝에 있는 구좌읍 소섬[牛島]으로 들어와서 해변의 보말(고동류의 한 종류)을 잡아먹으며 섬을 돌면서 바다에서 미역·전복·소라 등 해녀 채취물의 씨를 뿌려 번식시켜준다. 또, 어업이나 농업에도 풍요를 준 뒤 다시 소섬을 거쳐 본국으로 돌아간다고 전한다.
‘영등할망’이 찾아드는 이 기간에는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가서는 안 되며 빨래를 해서도 안 된다. 만일, 빨래를 해서 풀을 먹이면 집에 구더기가 번식한다고 한다. 제주도의 경우 이 신은 풍신의 성격도 다소 보이지만, 그보다도 해녀나 어부에게 풍요를 주는 내방신(來訪神)의 성격이 짙다.
영등신에 대한 굿을 영등굿이라고 통칭하지만, 마을에 따라서는 2월 초하룻날에 이 신을 맞이하여 비는 굿을 ‘영등환영제’라 하고, 2월 12일에서 15일 사이의 어느 날에 이 신을 보내는 굿을 ‘영등송별제’라 한다.
또는 ‘영등손맞이’라 하여 이 기간의 어느 날을 정기적 제일로 정하여 한 번만 굿을 하는 곳도 있다. 영등굿이 행해진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2월 초하룻날 귀덕(歸德)·김녕(金寧) 등지에서는 목간(木竿) 12개를 세워서 신을 맞이하여 제사지내고, 애월(涯月)에 사는 이들은 떼[槎]모양을 말머리[馬頭]와 같이 만들어서 비단으로 곱게 꾸미고 약마희(躍馬戱)주 01)를 해서 신을 즐겁게 하였다. 보름날에 끝을 맺는데, 이를 연등이라 한다. 이달에는 승선(乘船)을 금하였다.” 이 기록으로 보아 영등굿은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처럼 그때에도 귀덕·김녕·애월 등 주로 어촌에서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영등굿은 마을에 따라 그 제차(祭次)가 다소 다르고 또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제의와도 차이가 있다. 가장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영등굿은 다음과 같다. 굿하는 전날 잠수회·부녀회 등 여성단체의 간부들이 모여 떡을 만들고 제물을 준비한다. 비용은 각 가정에서 수렴하거나 공공기금으로 충당한다.
제일(祭日) 아침이 되면 제물이 당에 운반되고, 심방 5, 6명이 무구(巫具)를 가지고 당으로 온다. 제단에는 메·시루떡·도래떡·생선·야채류·과일류·계란·술·쌀·실·돈 등이 올려진다. 이 제단은 마을 전체의 기원을 위한 것이다. 이밖에 각 집에서는 자기집안의 축원용 제물을 마련하여 당으로 모여든다.
모여드는 순서대로 각 집안의 작은 상이 제단 앞에 열을 지어 놓인다. 제단의 진설(제상차림)이 끝나면 그 당의 매인 심방이 수심방이 되고 소미[小巫] 3명이 악기를 치면서 굿이 시작되는데, 다음과 같은 순서와 내용으로 전개된다.
① 큰대세움 : 신이 하강하는 길이라고 하는 긴 대를 제장에 세운다. 이 큰대에는 창호지로 만든 ‘기매’와 마을 어선들의 기가 달려 펄럭인다. 그리고 이 대에 긴 무명을 묶어 매어 제장에 연결시켜놓고 있는데, 이 줄을 신이 건너오는 ‘다리’라고 한다.
② 초감제 : 모든 신들을 청하여 모셔서 기원하는 기본형식의 의례이다. 정장한 수심방이 노래와 춤을 섞어가며 우주개벽으로부터 지리적·역사적 형성과정, 그리고 제장의 위치, 날짜, 굿을 하는 동기 등을 차례로 노래하고 모든 신을 청하여 모신다.
그래서 신들이 즐거이 하강하였는가 여부를 점쳐 신의를 전달한 뒤, 이장의 부인을 선두로 참가한 각 가정의 부녀자들을 차례로 배례(拜禮)시키며 복을 빌어준다.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663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SITEINFO

dcbooks.co.kr
My own VLOG Diary that only scraps Youtube videos that I am interested in.
연락처 : help@ggemtv.com

NEWS

  • 게시물이 없습니다.
Copyright © www.dcbooks.co.kr. All rights reserved.